개발실
-
vcpkg 버전이 안올라갈때...개발실/기타 2025. 1. 16. 15:14
vcpkg protobuf를 사용하는데,기존에 windows에서는 버전이 5.26.1이 최신버전이라고 나오는데 우분투에선 5.29.2 버전이 사용되고 있어서 서로 호환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windows에서 아무리 vcpkg를 갱신하는 명령을 수행하고 해도 - .\vcpkg\bootstrap-vcpkg.bat- .\vcpkg upgrade protobufprotobuf가 up to date라고 만 나옴. 나중에 vcpkg 폴더에서 직접 github update를 수행하고나서 ./bootstrap-vcpkg.bat 수행후,update를 하니 그제서야 정신차림. ** 근데, 라이브러리 버전이 실제로 올라가려면 아래 경고를 잘 봐야함.If you are sure you want to rebuild the ab..
-
연산 정밀도 높이기 삽질.개발실/.NET 2025. 1. 13. 22:25
PI값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루틴의 정밀도를 높여야 할일이 있어서윈도우 계산기의 파이값을 변수에 넣어두고 사용했었다.물론 저 아래값이 모두 적용될거라곤 생각하진 않았지만, Math.PI값이 정밀도가 떨어진다고 생각했다.( decimal을 이용해봤는데, 성능이 너무 많이 떨어짐 ) public class MyMath{ // 원래 PI값은 3.1415926535897932384626433832795; // Math.PI값은 아래와 같다. // public const double PI = 3.1415926535897931; // 최소한 끝자리를 2로 사용하고 싶은 마음에. public const double PI = 3.1415926535897932;} 근데, ..
-
Visual Studio Dependencies Project 빌드할때 오류.개발실/기타 2024. 3. 1. 21:25
아래와 같이 프로젝트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 빌드 순서에 따른 오류가 날때가 있다. 멀해도 해결이 안된다면, 아래처럼 해보시길... 혹시, 이런 상황에 대책이 있다면 댓글로 공유 부탁드립니다. 특히, 각각의 프로젝트 빌드결과에 어떤행위를 할때인데, 최근에, 난독화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겪은 특이한 케이스인데, 난독화는 프로젝트별로 설정이 되어 있어야만 하는 상황이여서 별도로 수행할수가 없었다. 그러다 보니, 빌드됐던 프로젝트가, 참조로 인해서 또 빌드되는 상황에서 오류가 발생하였다. 결론부터 말하면, visual studio의 options에 아래와 같이 멀티로 컴파일을 하도록 설정되어 있는데 그러다 보니 랜덤하게 결과 끼리 혹은 동일한 프로젝트 컴파일로 그런건지, 서로 충돌이 나는 경우이다. 다른 해결책..
-
CCd.AssimpNet exception Error개발실/Assimp 2024. 1. 18. 11:26
Assimp.AssimpException: 'Error finding unmanaged library from path: ccd.assimp.dll' at Assimp.Unmanaged.UnmanagedWin32LibraryImplementation.NativeLoadLibrary(String path) at Assimp.Unmanaged.UnmanagedLibraryImplementation.LoadLibrary(String path) at Assimp.Unmanaged.UnmanagedLibrary.LoadLibrary(String libPath) at Assimp.Unmanaged.UnmanagedLibrary.LoadIfNotLoaded() 위와 같은 에러가 나는 경우는 ccd.assimp.dll..
-
CCd.AssimpNet Basic Example개발실/Assimp 2024. 1. 12. 16:22
netget에서 CCd.AssimpNet으로 검색하여 라이브러리를 참조하고 사용함. Import Base string srcModelPath = "model file full-path"; using (AssimpContext importer = new AssimpContext()) { Scene scene = importer.ImportFile(srcModelPath, PostProcessPreset.None); } Export Base using (AssimpContext importer = new AssimpContext()) { Scene scene = importer.ImportFile(srcPath); var e = ModelConverter.getModelExportFormatDescripti..
-
error MSB3577: Two output file names resolved to the same output path:개발실/.NET 2023. 12. 5. 09:00
.net c# 프로젝트에서 어느날 위와 같은 에러가 남. 원인은, resx 파일이 중복되어 있어서 그런것이였음. 기존의 UserControl기반의 class가 아래와 같이 partial 로 서로 다른 이름의 파일로 작성되어 있는데. public partial class MyControl 각각 resx파일이 생겨서 나타나는 오류 였음. 아래 글처럼, 필요없는 resx파일을 삭제하고 컴파일 하니 잘됨. 아래 링크 참조 https://itecnote.com/tecnote/c-two-output-file-names-resolved-to-the-same-output/ C# – Two output file names resolved to the same output – iTecNote Recently I creat..
-
Qgis 로 3DTiles 보기개발실/GIS 2023. 11. 22. 13:44
최신 qgis 버전 3.34 에서 추가된 기능인데, 3dtiles 파일을 볼 수 있음. 근데, 로컬에 있는 파일을 그냥 open 해서 보는 기능은 없는것 같고. 웹서버를 통해서만 볼 수 있는것 같음. 3dtiles 파일들을 웹서버 밑에 복사함. qgis 탐색기에서 Scenes에 오른쪽 마우스클릭해서 3dtiles connection을 추가함. 그러면, 오른쪽 메인 화면에 나오는데 해당 화면은 2D임. 3D로 볼려면. 메뉴의 [보기][3D 맵뷰][새 3D 지도 뷰] 를 실행하면 3D로 볼 수 있음.